부모교육:: 연령별 뇌 발달에 따른 교육방법
이전 글에서 아동 개인마다 뇌발달마다 다른 교육 방법이 필요하다고 이야기했었다.
이 처럼 뇌 발달에 따른 교육의 시기가 모두 다르다.
태어날 때 성인 뇌의 25%인 350g에 불과하던 뇌는 생후 1년 만에 1천g이 될 정도로 급격히 성장한다.
이후 두뇌는 여섯 살까지 사고와 인성을 담당하는 전두엽 부위가 발달하고, 열두 살까지는 뇌 중간에 위치한 두정엽과 측두엽 부위가 발달한다.
후두엽 부위는 그 이후에 발달하게 된다.
이렇듯 두뇌는 앞에서 뒤로 자연스럽게 발달하게 되는데, 각 부위가 발달하는 시기에 맞는 교육이 이뤄져야 한다.
뇌는 만 3세까지 일생을 통해서 가장 활발하게 발달한다.
다른 시기와는 달리 이때는 고도의 정신활동을 담당하는 대뇌피질을 이루는 부분, 즉 전두엽, 두정엽, 후두엽이 골고루 발달한다.
따라서 편중된 학습은 옳지 않다.
예를 들어 독서만 많이 시킨다든지, 언어교육을 무리하게 시킨다든지, 카드학습을 지속적으로 시키는 등의 일방적이고 편중된 학습방법은 도움이 되지 못한다.
오감학습으로 두뇌를 골고루 자극할 때 뇌 발달이 효과적으로 이뤄진다.
특히 이 시기에는 감정의 뇌가 일생 중 가장 빠르고 예민하게 발달하기 때문에 사랑의 결핍은 후일 정신 및 정서 장애로 연결되는 경향이 크다.
영유아기 행복한 가정, 안정감을 주는
집안 분위기는 먼 미래 정서적으로 안정된
성인이 되는 밑거름이 되는 것이다.
영유아기에는 전두엽이 보다 빠른 속도로 발달한다.
전두엽은 인간의 종합적인 사고와 창의력, 판단력, 주의집중력, 감정의 뇌를 조절하는 가장 중요한 부위일 뿐 아니라 인간성, 도덕성, 종교성 등 최고의 기능을 담당한다.
따라서 암기 위주의 선행 학습을 강요하는 것은 좋지 못하다.
새롭고 자유로운 창의적 지식, 한 가지 정답보다 다양한 가능성을 지닌 지식을 가르치는 것이 전두엽 발달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
또 이 시기에 예절교육과 인성교육 등이 다양하게 이뤄져야 성장한 후에도 예의 바르고 인간성 좋은 아이가 될 수 있다.
‘세 살 적 버릇이 여든까지 간다’는 속담이 과학적으로 입증되는 셈이다.
사회적으로 문제를 일으키는 범죄자들의 경우에도 유년기를 살펴보면 안정적이지 못한 환경에서 결핍이 많은 상태로 자라난 걸 확인할 수 있다.
그렇다면 아이의 뇌 발달을 돕는 바람직한
부모의 역할은?
영유아기 아이의 발달에 바람직한 영향을 줄 수 있는 부모에게는 크게 다섯 가지 역할이 필요하다.
첫 번째. 좋은 양육자로서 역할을 해야 한다.
아이가 건강하게 자라날 수 있도록 안전한 울타리를 제공해주고 안정감 있는 가정 분위기를 만들어주어야 한다.
두 번째. 훈육자의 역할을 해야한다.
아이를 무조건 받아주는 것이 아닌 아이의 행동에서 해도 될 일과 하지 말아야 할 일을 명확하게 구분해서 알려주어 아이가 올곧게 성장하도록 도와야 한다. 요즘 교권이 무너지고, 촉법소년들의 일탈이 사회적 이슈가 되는 만큼 가정에서의 훈육이 얼마나 중요한지 알 수 있다.
세 번째. 자아개념 발달을 돕는 역할을 해야 한다.
자아개념은 아이가 경험을 통하여 습득한 자기 자신에 대한 개념으로서 가족과 주위 사람들이 자신을 중요한 사람으로 인정해 줄 때 아이는 긍정적인 자아개념과 자아 존중감을 가지게 된다.
아이에게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해주고 격려해주며 아이 스스로 하는 것에 응원을 해줄 수 있어야 한다. 그리고 가족의 일원으로서 아이가 중요한 역할을 해주고 있다는 것 또한 알 수 있도록 자극해주어야 한다.
네 번째. 아이의 주도성을 키워주는 역할을 한다.
영유아기는 신체 성장과 근육 발달이 왕성해지고 주변에 호기심을 갖는 시기이다.
부모는 아이가 새로운 환경을 능동적으로 탐색해볼 수 있도록 지지자가 되어 주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다섯번째. 아이가 마음껏 탐색할 수 있는 좋은 학습 환경을 제공해 주는 역할을 해야 한다.
좋은 학습 환경을 통해 아이는 자신의 흥미와 관심에 맞는 경험을 하고 성취감과 주도성 등등 고른 발달을 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아이의 바람직한 발달을 돕기 위해 부모는 아이가 흥미와 관심을 보이는 행동을 우선시하고 아이의 현재 모습 자체를 인정해 주며 아이가 부족하고 미완성된 결과를 보이더라도 아이가 스스로 주도적으로 끝까지 경험하도록 기다려 주어야 한다.
또한 아이와 함께 일상생활에서 활동하며 아이의 균형 있는 발달을 촉진하는 행동을 지속해야 한다.
★ 이것은 아이를 무조건 허용하는 것과는 달리 일정한 규칙을 통해 아이의 발달과 능력 수준에 맞는 기대를 하여 그 안에서 아이가 자유롭게 놀 수 있도록 하며 아이의 반응을 지지하고 인정해 주는 것이다.
이를 통해 맺어진 아이와 부모 간의 신뢰는 아이와 함께 행복한 시간을 보내는 출발점이 될 수 있는 있다.
▼관련 글 ▼